스킬 정보
특수 스킬
강화 특수 스킬: 먹과 함께 사라져라 [강특-3: 구름-2, 파츠]

[그림 1]
처음부터 순서대로 1. 풀 차지 시전 2. 시전 시작점의 극한 회피 판정을 보여주고 있다.
스킬AB
기본 툴팁
기운이 충분할 때 버튼을 홀드하여 시전:
지속적으로 차지해 적 주변에 에너지를 모아 최대 2초 동안 지속되는 지속 피해를 주며 대량의 현묵 피해를 준다.
차지를 최대 시간까지 완료하거나 미리 중단 후, 자동으로 [강화 특수 스킬: 먹과 함께 사라져라]를 시전한다.
스킬 시전 순간 극한 회피를 발동할 수 있으며, 극한 회피 발동 후 극한 시야에 진입할 수 있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강화 툴팁 (단, 모든 스킬 계수는 스킬 만렙인 16Lv 기준)
(기운 20~60 소모)
기운이 충분할 때 버튼을 홀드하여 시전:
지속적으로 차지해 적 주변에 에너지를 모아 최대 2초 동안 지속되는 지속 피해를 준다.
차지 시간은 0~2초로 조절 가능하다.
0초 차지 시, 총 158.8%의 현묵 피해를 준다.
1초 차지 시, 총 794.2%의 현묵 피해를 준다.
2초 차지 시, 총 1588.3%의 현묵 피해를 준다.
1초당 10타의 타수를 가진다.
1타는 79.4%의 현묵 피해를 준다.
0초 차지 시에도, 최소 2타에 해당하는 158.8%의 현묵 피해를 준다.
차지 시간 1초당 기운을 20pt 소모한다.
0초 차지 시, 최소 기운 소모량인 20pt을 소모한다.
차지 시작 또는 중단 시, 자동으로 [강화 특수 스킬: 먹과 함께 사라져라]를 시전하여 추가로 총 553.8%의 현묵 피해를 준다.
하급 몬스터들을 경직시키며, 구름에 닿은 적들은 구름의 핵으로 지속적으로 [견인]된다.
스킬 시전 순간 적의 공격에 닿으면 자동으로 [극한 회피: 극한 시야]에 진입한다.
스킬을 시전하는 동안 무적 효과를 보유한다.
의현의 [강화 특수 스킬]로 주는 피해가 60% 증가한다.
[강화 특수 스킬: 짙은 구름의 술] 및 [강화 특수 스킬: 먹과 함께 사라져라]가 그로기 상태인 적에게 명중 시 피해가 30% 증가한다.
스킬 분석 및 평가
해당 스킬인 [강특-2: 구름]은 조금 복잡해서 학습 시간이 일정량 이상 필요하므로 주기적인 복습을 권한다.
연관 스킬인 [강특-3: 구름-2]의 설명도 이곳에서 한꺼번에 할 예정이니 참고하자.
아래는 몇 가지 핵심 요약이다.
1. 해당 스킬인 [구름]을 시전하면 항상 [구름-2]가 자동으로 시전된다. (둘은 사실상 같은 스킬)
2. [구름]은 홀딩 스킬(채널링 스킬) 스킬군으로 분류되고, 공격 시간과 DMG가 파일럿의 입력 홀딩 시간에 비례한다.
3. [구름]은 중간에서 끊어도 딜로스가 거의 없으므로 자유롭게 끊어치면 되고, 특히, 최소 기운 요구치인 20 부근으로 기운이 떨어지면 일단 끊는 것을 권한다.
4. [구름]은 차지 시간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 [구름: 최소 끊어치기], [구름: 중간 끊어치기], [구름: 풀 차지]에 해당된다.
5. [구름]과 [패링]은 용호상박의 경쟁 관계에 있는데, 그로기 타임에는 오직 [구름]만 30% 피증 보너스가 있으므로 이 때는 항상 [구름]만을 쓴다.
6. 평상시에도 [패링]을 아예 안쓰고 [구름]만 써도 딜로스는 거의 없고 진행에 사실상 아무 문제가 없다.
7. [구름]은 [패링]에는 없는 [견인]기능이 있으므로 하급 미니언들을 모아서 정리하는 용도로는 [구름]이 더 적합하다.
8. [구름]을 0초 홀딩, 즉, 시전하자마자 버튼에서 손을 떼면 이론적으로 [구름-2]만을 시전한다. 이를 [구름: 최소 끊어치기]라 정의하자.
9. [구름: 최소 끊어치기]를 하면 이론적으로 [구름-2]만 시전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구름] 2타가 무료로 추가 발동된다. (2025-09 AB조사 결과. 실제로 무료인지는 불명확)
10. [구름: 최소 끊어치기]는 HP 1~5% 빈사 상태의 적을 자원(기운)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용도로 매우 적합하며, 넓게 흩어진 최하급 미니언들을 아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11. [구름: 최소 끊어치기]는 아주 빠르게 디스크 버프 풀스택 요구치인 [강특] 3번 시전을 채울 수 있으므로, 버프 예열에 특화되어 있다. (2025-09 인기 디스크 기준)
12. [구름: 최소 끊어치기]를 시전하면 왠지 자원효율적으로 손해일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손해가 거의 없거나 놀랍게도 오히려 이득일 수 있다. (2025-09 AB조사 결과. 미제)
13. 그러나 [구름: 최소 끊어치기]는 MPSe 상으로는 [구름: 풀 차지]에게 우위에 있지만, MPS 자체는 밀리는 모습이므로, 최종 판단은 전투 문맥에 달려있다.
아래는 몇 가지 미세팁 요약이다.
14. 중장거리의 사거리를 가지므로 굳이 근접하지 않아도 빠른 원거리 견제가 가능하다.
15. [구름]과 구름의 핵은 일단 시전되면 움직이지 못하는 고정형 장판(3D)으로 분류되므로, 빠르게 움직이거나 사라지는 적에 취약하지만, 그냥 바로 끊으면 된다.
16. 시전 시간 3.63초 동안 항상 무적을 유지하므로, 무적 시간이 길어야 유리한 가상격전시련에 유용하다.
이외에도, 위 강화 툴팁을 참조하기 바란다.
아래부터는 [구름]의 라이프 사이클과 AB조사에 대해 다룬다.
해당 스킬인 [구름]은 1가지 스킬이 아니라, [구름-2]가 시작과 끝에 붙어있는 2가지 스킬로 구성되며, 라이프 사이클은 3가지 단계로 나뉜다.
1. 차지 시작 단계(a0)에서는 [구름]이 아닌 [구름-2]가 발동된다.
2. 차지 진행 단계(b)에서는 [구름]이 정상적으로 발동된다.
3. 차지 끝 단계(a1)에서는 [구름]이 아닌 [구름-2]가 발동된다.
(2025-09-22 ~ 2025-09-25: AB조사)
해당 스킬인 [구름]은 데미지 숫자가 굉장히 빠르게 떠서 딜구조 분석이 매우 어려운 AB과제가 있었다.
이에 HQ는 전면적인 AB조사에 들어갔으며, 정밀 영상 프레임 단위 분석을 위해 영상 분석 장비를 1차 업그레이드 하였다.
해당 AB조사에서는 [패링], [구름], [구름-2] 각각의 데미지, 딜구조는 물론, 시전 시간, 타수까지 정밀 분석이 진행되었다.
시전 시간 조사를 완료하였으므로, 이를 오피셜 데이터인 데미지 배율(M)과 결합해 목표 산출물인 MPS를 약 95~99%의 정확도로 계산할 수 있었다.
또, 빠른 DPS조사를 위해, DPS에 비례하는 개념인 MPS(Multiplier Per Second)를 새롭게 도입하게 된다. (미니 논문 MPS-1 참조 바람)
또, 최종 목표 지표인 MPS 자원효율을 나타내는 MPSe(MPS Efficiency)가 새롭게 도입된다. (미니 논문 MPSe-1 참조 바람)
마지막으로, 위 3가지 스킬의 MPS와 MPSe를 표로 정리해 마무리하기로 한다.
MPS는 Multiplier Per Second의 약자로, 이 개념을 도입하면 실제 데미지 계산식을 알 필요없이 매우 빠른 DPS 비교가 가능해져서 편리하므로 추천한다. ZZZ에서는 간단하게, 임의의 a, b 스킬에 대해, DPSa : DPSb = MPSa : MPSb 가 성립한다면 해당 게임은 MPS를 도입하여 DPS 대체가 가능하다고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