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킬 정보

개별 스킬으로 이동은 아래 게임 UI에서 해당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SkillMap

특수 스킬

강화 특수 스킬: 먹빛 흔적의 형체 (강특수-2)

강화 특수 스킬: 먹빛 흔적의 형체 시연

[그림 1]
처음부터 순서대로 1. 그냥 날개 치기 2. 차지 후 날개 치기 3. 차지 중 자동 패링 반격 4. 즉발 패링 반격 5. 연속 날개 치기 를 보여주고 있다.

스킬AB

기본 툴팁

기운이 충분할 때 버튼을 짧은 탭 혹은 홀드하여 시전:
지속적으로 차지하며 버튼에서 손을 떼면 날개치기 공격으로 대량의 현묵 피해를 준다.
차지하는 동안 적의 공격을 받을 시, 자동으로 가드하고 날개치기 공격을 발동한다.
차지를 시작하는 순간 적의 공격을 받으면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 이번 피해에 면역되며,
스킬의 경직 레벨이 강한 패링 지원만큼 증가하고, 기운을 10pt 회복한다.
날개치기 공격이 붉은 섬광 혹은 금빛 섬광이 나타난 적에게 명중 시에도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
이번 피해에 면역되며, 스킬의 경직 레벨이 강한 패링 지원만큼 증가하고, 기운을 10pt 회복한다.
완벽 가드 효과는 0.5초 동안 최대 1회 발동할 수 있다.
만약 차지를 섬광까지 완료하거나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하면, 날개치기 공격 후 부적 공격을 추가할 수 있다.
스킬 시전 후 버튼을 눌러 [강화 특수 스킬: 천상의 공세-파괴]를 시전할 수 있다.
[강화 특수 스킬: 천상의 공세-파괴] 시전 후 기운이 충분하면 버튼을 눌러 추가로 기운을 20pt 소모해 [강화 특수 스킬: 청명의 뇌동-파괴]를 시전할 수 있다. [강화 특수 스킬: 청명의 뇌동-파괴] 시전 후, 만약 [현묵]이 충분하면 버튼을 홀드해 빠르게 [일반 공격: 현묵진법]을 이어서 사용할 수 있다.
날개치기 공격 시 무적 효과를 보유하며, 차지하는 동안 경직 저항 레벨이 증가한다.

강화 툴팁 (단, 모든 스킬 계수는 스킬 만렙인 16Lv 기준)

(기운 40 소모)
기운이 충분할 때 버튼을 짧은 탭 혹은 홀드하여 시전:
지속적으로 차지하며 버튼에서 손을 떼면 날개치기 공격으로 중간급의 현묵 피해(709.8% + 353.6%)를 준다.
차지하는 동안 적의 공격을 받을 시, 자동으로 가드하고 날개치기 공격을 발동한다.
차지를 시작하는 순간 적의 공격을 받으면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 이번 피해에 면역되며,
스킬의 경직 레벨이 강한 패링 지원만큼 증가하고, 기운을 10pt 회복한다.
날개치기 공격이 붉은 섬광 혹은 금빛 섬광이 나타난 적에게 명중 시에도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
이번 피해에 면역되며, 스킬의 경직 레벨이 강한 패링 지원만큼 증가하고, 기운을 10pt 회복한다.
완벽 가드 효과는 0.5초 동안 최대 1회 발동할 수 있다.
만약 차지를 섬광까지 완료하거나 완벽 가드 효과를 발동하면, 날개치기 공격 후 부적 공격을 추가할 수 있다.
스킬 시전 후 버튼을 눌러 [강화 특수 스킬: 천상의 공세-파괴]를 시전하여 (876.1%)의 현묵 피해를 줄 수 있다.
[강화 특수 스킬: 천상의 공세-파괴] 시전 후 기운이 충분하면 버튼을 눌러 추가로 기운을 20pt 소모해 [강화 특수 스킬: 청명의 뇌동-파괴]를 시전하여 (1008.4%)의 현묵 피해를 줄 수 있다. [강화 특수 스킬: 청명의 뇌동-파괴] 시전 후, 만약 [현묵]이 충분하면 버튼을 홀드해 빠르게 [일반 공격: 현묵진법]을 이어서 사용할 수 있다.
날개치기 공격 시 무적 효과를 보유하며, 차지하는 동안 경직 저항 레벨이 증가한다.

스킬 분석 및 평가

 공허사냥꾼급 특수 에이전트 #2 의현의 스킬 구조는 나쁘지는 않지만 처음의 많은 기대와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아쉬움의 주요 요인은 대부분의 에이전트의 핵심 스킬 구조 중 하나인 강특수(강화 특수 스킬)의 아쉬운 딜링 구조이다.
 스킬 코드: 강특수-2(강화 특수 스킬: 먹빛 흔적의 형체)가 바로 그 구체적인 주인공인데, 이 스킬은 기본적으로 패링 반격해보라는 의도로 설계된 스킬이다. 하지만 패링 반격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낮은 등급의 조건부 스킬 카테고리에 해당된다는 것에 있다. 패링 반격은 반드시 적의 공격의 전제 하에서만 존재 가능하다. 즉, 패링 반격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당연히 적이 공격을 자주, 되도록이면 파일럿이 원하는 타이밍에 공격을 해주는 것이 베스트다.
 하지만 과연 적이 내가 원하는 타이밍에 공격을 해줘서 패링 반격의 벨류만큼의 손해를 굳이 일부러 쉽게 입을 것인가? 바로 여기가 심리전이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곳이고 많은 온라인 PVP 게임의 하이랭크로 갈수록 숙련된 파일럿들은 일부러 패링 반격의 기회를 안주거나, 심지어 모션 캔슬로 자신의 쿨타임은 세이브하면서 패링 반격을 빼도록 유도한 다음 본격적으로 공격에 들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ZZZ의 보스들은 다행히 그 정도로 영리하지는 못하다.
 ZZZ의 보스들은 오히려 맹목적으로 정해진 공격 패턴을 랜덤으로 하는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랜덤 패턴형 보스를 따른다. (전통적인 랜덤 패턴형은 심리에 관한 코드 구현이 전무하거나 매우 미약하게 구현되어 있음) 따라서, 이것은 곧 보스의 패턴을 학습하고 최적화된 타이밍에 패링 반격을 배치하는게 가능해지고, 이 패링 반격에 연관된 전후 콤보도 최적화된 배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패링 반격 발동의 주도권은 여전히 적에게 있지만 높은 포텐셜의 예측가능성으로 결과적으로 의현의 패링 반격이 낮은 등급의 조건부 스킬이라고 했지만 이를 조금 정정해서 벨류를 다시 조금 높게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이제 그렇다면 성공적인 패링 반격의 리턴값은 얼마나 큰 데미지를 줄 것인가? 바로 두번째로 아쉽다는 점이 데미지가 생각보다 세지 않다는 것이다. 보통 다른 게임의 패링 반격은 조건이 까다로운 리스크를 많이 지는 만큼 리턴값을 많이 준다. (Ex 많은 데미지 or 기절 등) 하지만 의현의 성공적인 패링 반격은 데미지도 세다고 보기 힘들고 보스 기절같은 CC도 주지 않는다. 물론, 강특수-2 설명에 의하면, 완벽 가드 성공시, 기운 10pt를 회복하기는 한다. (부적 공격은 미확인)
 결론을 내리자면 의현의 반격 스킬은 적의 공격에 의존해야 하는 낮은 발동 조건과 그 단점을 상회할 만한 충분한 보상이 아니라 낮은 보상으로 보상마저 충분하지 못하여 좋은 스킬이라 하기 힘들다. 따라서, 굳이 반격을 일부러 하기 위해 홀딩하면서 딜로스(HWL, Holding While (Dmg) Loss)를 내기 보다는 미야즈마 신규 보스가 무자비한 금빛 섬광 공격을 할 때처럼 명백하게 패링이 이득이 큰 상황 아니면 잘 쓰지 않을 것 같다. 한편으로 또, 과연 기존의 회피 반격에 비해 이 스킬의 뚜렷한 이점이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남긴다. (기운 소모가 40이 아니라 10~20 정도로 낮았다면 훨씬 좋았을 것)

 지금까지 단점만 얘기했는데 장점도 많다. 다음은 강특수-2 후반부인 천상의 공세와 청명의 뇌동에 대한 평가다.
 기본 툴팁 설명대로 강특수1타 모션인 날개 치기에 이어서 버튼을 계속 누르면 2타, 3타인 천상의 공세, 청명의 뇌동으로 이행 가능하다.
 다행히 기대에 못 미쳤던 1타와는 달리 2타, 3타는 기대에 부응하는 준수한 데미지를 보여준다. 게다가, 기운 소모량이 40으로 컸던 1타에 비해 2타, 3타는 기운 소모량이 20으로 더 작아졌다. 그러므로 1타에서 멈추지 말고 3타까지 끝까지 밀어붙이는 습관을 갖는 것을 권장한다. (청명의 뇌동 이후 If 현묵 보유시, 빠르게 현묵진법이 가능하다고 써있는데 이 부분 또한 많은 개별 연습이 필요, 따라서 이것이 숨겨진 히든 4타가 될 수 있음)
 한편, 모션 Eye 확인은 2타는 바닥을 한바퀴 휩쓰는 모션, 3타의 경우 의현이 공중으로 약간 떠오르면서 등에서 검은 날개를 펼치는 것으로 [그림 1]에서 확인 가능하다.
 다음은 1타~3타에 대해서 기운 소모량(에너지 소모량) 대비 데미지를 나타낸 표이다. 이것으로 해당 스킬 분석 및 평가를 마무리한다.

스킬 단계기운 소모량(C)데미지(D)기운 당 데미지(D/C)
1타: 날개치기401063.4% = 709.8% + 353.6%26.6% = 17.7% + 8.8%
2타: 천상의 공세20876.1%43.8%
3타: 청명의 뇌동201008.4%50.4%

[표 1] 강화 특수 스킬 3단계별 기운 소모량과 데미지 비교 (스킬 16Lv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