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현 콤보

Xbox pad visual assist

전무 버프 유지

전제조건: 전무, 기운 30% 이상

X button (홀드)X button (홀드)

콤보 설명

사용법은 전무 전용 이펙트 버프가 꺼지는 제한시간인 15초가 지나기 전에 강특을 최소 1번 이상 발동해 버프를 계속 최대 스택인 2스택으로 유지해주면 된다.

너무나도 간단해서 별 의미가 없어보임에도 불구하고 본 콤보의 취지는 히든버프인 전무 버프의 비가시성으로 인한 버프 꺼짐 사고를 원천 봉쇄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무 버프 2스택 각각의 스택은 같은 버프 시간을 공유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15초가 지나기 전에 최소 1번의 강특만 써준다면 버프는 계속 풀스택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이론에 의한다면 파일럿이 마지막으로 강특을 썼던 시각 t1 으로부터 15초 안에 다시 강특을 쓴다면 전무 버프가 계속 유지되는 것을 100% 이론적으로 보장한다.

현실적으로는, 파일럿이 사람이라면 15초라는 시간은 현실적으로 매번 정확히 암묵적으로 추적하기 힘든 시간이므로 보통 10~13초 근방에서 사용하도록 연습하기를 권장한다.
한편, 의현이 단독 무대로 가서 온필드 시간이 길어진다면, 파일럿이 설령 본 콤보의 존재를 모른다 하더라도 자연스럽게 강특 사이클로 돌아오면서 전무 버프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의현보다 쌘 에이전트(미야비 or 신캐 등) 출현 등의 이유로 의현의 온필드 시간이 줄어들 경우다. 또, 의현이 온필드여도 신규 미야즈마 보스처럼 긴 공중 체류 시간으로 강특 기회조차 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들은 모두 의현의 전무 버프 가동율을 100% 아래로 떨어트리는 리스크들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콤보를 연습한다면 전무 버프의 100% 상시 유지를 이론적으로 보장한다.

디스크 버프 예열

전제조건: 운규 이야기 4세트

X button (홀드)X button (홀드)X button (홀드)

콤보 설명

사용법은 강특을 3번 연속으로 쓰면 된다. 빠르게 써서 버프 예열을 앞당기려면 강특 캔슬(끊기)을 계속하면 된다.

위의 전무 버프 유지 콤보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점은 본 콤보는 디스크 버프 풀스택 효과를 보기 위한 0스택에서 풀스택으로의 예열, 즉, 유지가 아닌 예열에 관한 것이다.

예열을 최대한 느리게 한다면 최대 걸리는 시간은 각 버튼 사이의 최대 간격인 15초의 두배인 30초이고, 빠르게 해도 캔슬을 안하면 시간이 꽤 걸리므로 강특 캔슬을 고려한다.
강특(구름)은 스킬 구조상 특이하게도 캔슬해도(끊어도) 자동으로 강특-4 에 해당하는 먹과 함께 사라져라 가 발동하므로 딜로스를 줄여준다. 따라서 적극적인 강특 캔슬을 노려보는 것도 좋다.

한편, 디스크 버프 풀스택에 도달했다면 이제 유지를 해야 하는데 유지 조건은 15초 안에 강특, 콤보스킬, 궁 3개 중 아무거나 쓰면 되는데, 이 중 강특이 가용성(Availability, 필요할 때 준비되어 있을 확률 또는 그 빈도)이 높으므로 강특으로 유지를 하는게 보통일 것이다.
이렇게 강특만으로 버프 유지하기로 마음먹었다면 재미있게도 위의 전무 버프 유지 콤보와 100% 동일한 유지 콤보가 성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콤보 모두 15초 간격으로 강특쓰는 것을 잊지만 않으면 된다.
두 콤보 모두 핵심 키워드는 15초, 강특 이 두가지다.

※참고: 운규 이야기 4세트 버프는 히든 버프이므로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AB과제1: 좀 더 빠른 버프 예열을 위하여, 강특 구름 시전 후 끝에 자동 발동하는 강특-4 먹과 함께 사라져라 가 별도의 강특으로 분류되어 1스택을 추가로 올려주는지에 관한 과제이다.
    만약 올려준다면, 본 콤보(강특-2가 아닌 강특-3 구름만 사용을 전제로 함)에서 강특 1번 사용시 이미 2스택을 쌓는다. 또, 밑의 과제2와 연관있으므로 봐주기 바란다.
※AB과제2: 좀 더 빠른 버프 예열을 위하여, 버프 예열을 완료하는 스킬의 데미지에 방금 그 스킬이 올렸던 1스택이 적용되는지에 관한 과제이다.
    만약 적용된다면, 본 콤보의 마지막 강특은 예열 완료기이자 메인 딜링기가 된다. 또, 강특 2번 후 궁을 쓴다면 예열이 끝난 궁 데미지를 주는 콤보가 성립한다.
    게임 엔진 일관성 원리에 의해, 본 과제의 성공적인 연구 성과는 다른 비슷한 버프 예열 연구 성과로 곧바로 이어지므로 중요한 연구이다. (역으로 다른 연구에서 본 연구로 오는 것도 가능)

궁 쓰고 강특(구름의 술)

전제조건: 궁 보유, 기운 30% 이상

Right TriggerX button (홀드)

콤보 설명

사용법은 궁을 쓰고 바로, 혹은 15초 안에 주력기인 강특(구름의 술)을 사용해서 딜링을 해주면 된다.
15초라는 시간은 강특을 2~3번 까지도 무난하게 넣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므로 유동적으로 1~3번 시전하면 된다.

스킬툴팁: 코어-2-line-6 마지막 줄에 의하면, 궁을 시전하면 의현에게 [정신 집중]이라는 15초의 버프가 생기며 해당 버프는 치명타 피해(크피)를 40% 올려준다.
따라서 이 콤보의 취지는 메인 딜링기인 강특을 궁 뒤에 배치하여 15초의 버프 시간 동안 강특의 딜 포텐셜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매우 중요한 점 하나는 스킬툴팁: 코어-2-line-5 에 의하면, 강특(구름의 술)은 그로기 적에게 명중 시 피해가 30% 증가한다는 점이다. (의현의 강공 포지션)
30% 피증 수치는 UNI에 의하면, 높은 수치로, 그로기 타임에는 반드시 해당 스킬을 최대한 많이 쓰는 것을 권장한다.
여기에 더해서, 우리의 콤보를 그로기 타임에 적용해 본다면, [정신 집중] 버프는 크리 확률(치적) 100% 기준 40% 피증, 코어-2-line-5 에 의해 피증 30% 로 합연산 기준 70% 피증, 곱연산 기준 무려 82% 의 피해를 준다.

[정신 집중] 버프는 히든 버프(내부 버프,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체크할 수 없는 버프)가 아닌 보이는 버프이므로 체력바 밑 버프창에 뜬다.
비록 가시성은 안좋아서 버프가 여러개 섞이면 알아보기 힘들지만 어쨌든 정확히 끝나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강특 시전을 여기에 맞춰서 딜로스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 스킬: 코어-2 는 파티원 조합을 따른다. 통상적으로 이 조합이 거의 항상 켜진 상태로 맞춘다고 가정하며, 꺼질 경우는 당연히 [정신 집중] 버프가 없으므로 우리의 콤보는 무효화된다.

현묵진법 빠른지원 캔슬

전제조건: 현묵 보유, 아스트라

4way key + A button (홀드)X buttonRight Bumper

콤보 설명

사용법은 먼저 현묵진법을 발동하면 0~1초 안에 아스트라의 빠른지원이 자동으로 발동하며 교체 사인이 뜨는데 파란 교체(스무스한 교체) 혹은 일반 교체(딜로스 가능) 사인에 교체해주면 된다.

의현의 기존 현묵진법은 상당히 긴 후딜(후딜레이, 스킬의 실질적인 발동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모션 중에 있어서 이 모션이 끝나기까지 걸리는 시간) 모션을 가지는 아쉬운 스킬이다.
따라서 이 긴 후딜이 캔슬 가능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검증된다면 현묵진법의 실질DPS는 대폭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다행히 일부 전투영상에서 현묵진법 발동 후 캔슬해도 스킬이 중단되지 않고 끝까지 들어가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전투영상Eye에서 현묵진법 모션의 끝 부분인 의현 모습의 그림자 2명이 양쪽에서 끝까지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

이제 문제는 그렇다면 후딜 캔슬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 퀵스왑? 강제스왑?
한편, 아스트라를 의현과 같이 쓴다면 아스트라는 알다시피 오프필드 고정지원상태에서 온필드가 아무 공격이나 연속으로 하면 주기적으로 빠른지원을 발동해줘서 교체하며 공격력 상승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콤보의 요지는 아스트라가 이렇게 자연스러운 스왑 요건을 자주 만들어주는 점을 이용해 현묵진법의 긴 후딜을 아스트라의 빠른지원으로 딜로스없이 캔슬하는 것이다.

현묵진법 궁 캔슬

전제조건: 현묵 보유, 궁 보유

4way key + A button (홀드)X buttonRight Trigger

콤보 설명

사용법은 현묵진법을 발동 시키고 0.2~1초 안에 궁을 쓰면 된다. (주의: 궁을 너무 빨리 쓰면 현묵진법 전체가 캔슬된다)

기본적으로 현묵진법의 긴 후딜을 다른 스킬로 캔슬해보자는 의도로 동일한 캔슬 원리에서 출발한 콤보들 중에 하나다.
아스트라나 다른 빠른지원 유발 에이전트를 전제조건으로 하지 않고 의현 자기 자신의 현묵과 궁 보유 여부에만 의존하므로 매우 범용적인 콤보다.

AB검증에 관해서는, 현묵진법 자체 모션인 양쪽 그림자 2명이 나타나며 딜하는 스킬 전반부 파트 모션은 딜로스없이 의도대로 캔슬되는 것을 확인했다.
문제는 현묵진법의 후속타인 청명의 뇌동(의현이 검은 날개 펼치는 모션, 스킬툴팁: 일반공격-4 에 해당, 해당 스킬 참조 바람)이 궁에 의해서 캔슬되는 것 또한 BD영상 분석에서 확인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딜로스 포텐셜을 가지므로 이 콤보의 정당성을 따져보지 않을 수 없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콤보는 정당하다. 그 주된 이유는 청명의 뇌동의 262.1% 의 낮은 딜계수 때문으로 이 계수는 평타5타 보다도 낮은 수치이다.
우리의 콤보는 후딜을 캔슬하는 시간을 번다. 번 시간 동안 평타를 넣을 수 있고 어떤 스킬을 써도 된다. 이제 이 시간에 해당하는 DPS를 dps_a라고 하고 아까 청명의 뇌동의 262.1% 에 해당하는 DPS를 dps_b라고 하자.
262.1%는 낮은 딜계수이므로 dps_a < dps_b 라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dps_a >= dps_b 이다.

한편, 또 다른 AB검증에서 현묵진법 빠른지원 캔슬은 청명의 뇌동이 끝까지 정상적으로 발동되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우리의 콤보는 그렇지 못한데 왜 그럴까?
스킬툴팁: 일반공격-4-line-1 에 의하면 청명의 뇌동은 현묵진법이 최대 시전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시전된다. 여기서 빠진 설명은 최대 시전 시간에 도달시, 의현의 본체가 그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빠른지원 캔슬은 의현의 본체 위치를 변경하는게 아니므로 정상 발동하는 것이고, 우리의 콤보는 궁으로(여기서 궁은 보통 진짜 궁인 청명과 운영, 스킬툴팁: 궁-2 를 말함) 본체의 위치를 공중으로 일시적으로 옮기므로 발동 안하는 것이다.

※추가: 스킬툴팁: 코어-1-line-9에 의하면 청명의 뇌동의 피해는 262.1% 가 아니고 60% 증가된 419.36% 이다. 하지만 여전히 높다고 하기엔 살짝 애매한 수치이고, 우리의 콤보는 궁을 빨리 쓰므로 데시벨의 회전율이 더 높다. 결론적으로 dps_a ≈ dps_b 라고 봐도 될 것이며 최종 판단은 여러분들에게 맡긴다.
※전투영상1(BD1): 현묵진법 발동 후 살짝 느리게(0.2초 이상) 궁 캔슬을 썼으므로 성공적으로 캔슬했고 양 옆의 그림자들을 확인함으로써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BD2: 현묵진법 발동 후 너무 빠르게 궁을 써서 현묵진법 전체가 캔슬되버려 딜로스가 일어났고 양 옆의 그림자들이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슈퍼 콤비네이션 - 소버린 찰리 원

전제조건: 반인호, 아스트라, 술법 궁

X button (홀드)X button (홀드)Right TriggerA button (홀드)Right BumperY buttonRight BumperX button (홀드)X button (홀드)

콤보 설명

사용법은 구름 1~2번을 적당히 넣어 전무 버프 예열을 하고 술법 궁을 사용하면 현묵이 생기는데 바로 회피 홀딩으로 현묵진법 선딜 캔슬을 한다.
동시에, 아스트라 빠른지원이 자동 발동하는데, 바로 팀원 교체해주면 자연스럽게 현묵진법 후딜도 캔슬된다.
이제 교체한 팀원(여기서는 반인호)으로 메인딜러인 의현을 위한 오프필드 버프인 강특을 시전하면서 아스트라 빠른지원으로 다시 메인딜러로 교체한다.
이제 메인딜러는 모든 자버프와 오프필드 버프를 모았으므로 바로 주력기인 구름으로 기운이 0이 될 때까지 최대한 극딜을 한다.

본 콤보의 초반부는 전무 버프뿐만 아니라 디스크 버프까지도 동시에 예열 및 유지를 보장한다. (강특 한 개를 앞에 더 추가한다면 100% 예열을 보장하지만 너무 길다)
예열이 끝났다면 궁 쓰고 강특 콤보로 본격적인 메인딜링을 준비한다. 하지만 그 전에, 데시벨 궁이 아닌 술법 궁(궁극기-3: 천 겹의 부적)을 썼다면 바로 현묵이 추가되고 스킬툴팁: 궁극기-3-line-4에 의해, 선딜 캔슬된 현묵진법 발동이 가능하므로 이것을 먼저 쓰는 것이다.
이제 현묵진법의 후딜을 캔슬해야 하는데, 상시 빠른지원을 주는 아스트라를 기용중이므로 현묵진법 빠른지원 캔슬 콤보를 사용해 반인호나 다른 오프필드로 스왑후 버프를 시전한다. 이제 다시 의현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 때, 아스트라의 빠른지원이 바로 돌아올 수도 있고 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다시 의현으로 돌아왔다면 이제 본 콤보의 마지막 파트인 메인딜링 페이즈이므로 메인딜링기인 강특이나 궁 또는 궁 쓰고 강특같은 위 콤보를 사용하면 된다.
한편, 전투영상1(BD1) 마지막 부분에서 마지막 강특 시전시, 기운30% 이상 남겨놓는게 아닌 기운 0이 될때까지 시전하는 것에 주목하라. 슈퍼 딜사이클의 마지막 딜링 스킬이므로 기운을 남겨놓지 않는다.
BD2는 의현의 궁 2개를 모두 사용하므로 진정한 의미의 소버린 콤보(이론상 최고점 콤보)이다.

본 콤보의 취지는 지금까지 익힌 미니 콤보들을 종합하고, 미야비가 얼음 속성에서 최정상급 메인딜러로 자리잡은 이 시점에서, 의현 또한 에테르 최정상급 메인딜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는 것이다.
그로기 타임에 본 콤보나 유사한 콤보(궁이 한 개 더 있는)를 시전한다면 미야비의 최정상급 콤보에 맞먹는 순간DPS를 낼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 검증은 여러분들에게 맡긴다.

※추가: 반인호나 아스트라는 예시일 뿐, 귤복복이나 다른 미래의 신캐가 와도 원리는 메인딜링 직전에 모든 오프필드 버프를 빠르게 전달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할 것이다.

활공 회피

전제조건: 없음

4way key + A button (홀드)4way key (홀드)A button

콤보 설명

사용법은 방향키 드래그와 회피 홀드로 [경신] 상태에 진입 후, 방향키를 원하는 방향으로 홀딩하며 자유롭게 활공하다, 적의 공격에 맞기 직전에 회피를 누르면 경신 중 회피가 발동된다.

BD1을 반드시 참고하라. 영상 초반부처럼 적의 공격에 맞춰서 회피를 눌렀을때 의현 몸체가 흔들리는 모션이 발동하며 회피에 성공한다.
영상 23초 부근에서 회피가 안되고 맞은 이유는 경신 회피가 연속적으로 무한하게 되지는 않으며 1초에 1회 정도가 제한으로 생각된다. (참고로 일반 회피는 2회 연속 회피가 가능)

본 콤보는 다른 콤보들에 비해 훨씬 중요성이 낮지만, 보너스 개념의 콤보다. 와이페이 반도의 맵 답사 모드에서 경신으로 활공할 일이 대부분인데, 적의 공격으로 활공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한가지 기대되는 사용처는 보스전에서 니네베처럼 유난히 넓은 맵에서 보스와 거리가 어떤 이유에서든 크게 벌어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