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Multiplier Efficiency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s of Damage Efficiency (DMGe) and Multiplier Efficiency (Me), which complement the existing metric of Damage Per Second (DPS).
  While DPS and MPS (Multiplier Per Second) are useful for measuring instantaneous performance, they fail to account for the limited nature of in-game resources such as energy or mana. By defining DMGe and Me as the ratio of total output to resource consumption, we establish a framework for evaluating both power and sustainability in combat scenarios.
  The relationship between DPS and DMGe is analogous to that between a racing car’s speed and its fuel efficiency in Formula 1®, where maximizing performance requires balancing both. This study proposes that DMGe and Me can serve as practical metrics for optimizing resource efficiency and strategic decision-making in high-level gameplay.

서론

MPS와 DPS는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의미있는 지표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DPS 지표 하나만으로 모든 전투에서 승리를 거머쥘 수는 없으므로 DMGe(Damage Efficiency)같은 여러 서브 지표들을 봐야 한다.
최고의 파일럿을 의미하는 탑건이 되기 위해서는, 스킬들의 여러 지표들을 암기 및 전투에서 실시간 응용 가능하고, 현재와 앞으로의 상황을 끊임없이 평가 및 시뮬레이션하는 훈련이 중요하다.
이에 HQ는 데미지 자원 효율 지표인 DMGe 와 Me 를 소개한다.

한편, 자원관리학에서는 대부분의 게임 스킬 시전에는 자원(마나, 에너지 등)이 필요하며,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쉬운 예시로, DPS는 레이싱카의 속력에 비유 가능하며, DMGe는 연비(Fuel efficiency)[1]에 비유 가능하다.
F1(Formula 1®)[2] 부류의 레이스들은 주로 서킷(circuit)과 랩(lap), 핏(pit stop)[3] 등으로 구성된다.
레이스에서는 레이싱카의 속력이 물론 매우 중요하지만, 연료가 빠르게 바닥난다면 자주 핏에 들락거려야 하므로 시간 손해를 볼 것이다.
같은 의미로, 어떤 스킬의 DPS가 높아도 DMGe가 낮다면 스킬을 마음껏 못 쓴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쉽게 말해서, DMGe 와 Me 는 연비이다.

정의 1

어떤 스킬, 전투, 에이전트 등의 컨텍스트(Ctx)에 대해,
해당 Ctx의 데미지를 DMG, 자원 소모량을 C로 나타낼 때,

DMGe = DMG / C

을/를 'DMGe' 라고 정의한다.
단위로는 (/c) 또는 (dmg/c) 를 쓴다.

정의 2

어떤 스킬, 전투, 에이전트 등의 컨텍스트(Ctx)에 대해,
해당 Ctx의 데미지 배율을 M, 자원 소모량을 C로 나타낼 때,

Me = M / C

을/를 'Me' 라고 정의한다.
단위로는 (%/c) 를 쓴다.

성질 1

어떤 Ctx에서 MPS가 도입 가능[4]하다면,
자동으로 해당 Ctx 내부에서 임의의 a, b 스킬에 대해,

DMGea : DMGeb = Mea : Meb

이/가 성립하고 해당 Ctx 내부에서 Me 도입 가능하다.

정의 3 (참고)

어떤 차량의 단위 연료로 얼마나 멀리 달릴 수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연비 = 주행 거리 / 소모 연료

을/를 '연비'라고 정의한다.
단위로는 (km/L, mpg) 등을 쓴다.

전제 조건

MPS와 같거나 비슷하다.

한계

MPS와 같거나 비슷하다.

용어

1. Me 대신 MMGe, DMe, MPS/CPS, DRE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HQ는 가장 짧은 Me를 채택했다.)
2. Cost 대신 Resource를 쓸 수 있다. (HQ는 가장 짧은 Cost를 채택했다. ZZZ, League of Legends, Diablo 4 등의 게임은 Cost를 주로 썼다.)

References

[1]"Fuel economy in automobiles - Wikipedia".Wikipedia.10 October 2025.

[2]"F1 - The Official Home of Formula 1® Racing".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 Limited.10 October 2025.

[3]"Pit stop - Wikipedia".Wikipedia.10 October 2025.

[4]"MPS - 젠존제 HQ".HQ.10 October 2025.

[5]"의현 스킬 - HQ".HQ.10 October 2025.